맨위로가기

쩐 유종

"오늘의AI위키"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.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
1. 개요

쩐 유종은 쩐 왕조의 제5대 황제 쩐 명종의 아들로, 1341년부터 1369년까지 재위했다. 6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아버지 명종의 섭정을 받았으며, 명종 사후에는 친정을 시작했으나 사치스러운 생활로 국정을 어지럽혔다. 유종은 자녀가 없어 조카인 쩐 냣레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34세에 사망했으며,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티에우퐁과 다이찌의 연호를 사용했다.
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
  • 1369년 사망 - 라마티보디 1세
    라마티보디 1세는 1350년 아유타야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4개의 관청을 설립하고 타이 법전을 제정했으며, 명나라와 동맹을 맺고 영토를 확장했으나, 사후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.
  • 1369년 사망 - 구이도 곤차가
    구이도 곤차가는 1328년 만토바와 레조 에밀리아의 포데스타로 선출되었고, 1335년 레조 에밀리아의 군주가 되었으며, 1360년에는 만토바의 카피타노 델 포포로가 되었으나 1369년에 사망하고 루도비코 2세 곤차가가 그의 뒤를 이었다.
  • 1336년 출생 - 티무르
    티무르는 14세기에 활동한 군사 지도자로서, 칭기즈 칸의 후예는 아니었지만 차가타이 칸국의 혼란을 틈타 권력을 잡고 정복 전쟁을 통해 티무르 왕조를 세웠으며, 군사적 재능과 잔혹함으로 평가받는다.
  • 1336년 출생 - 고계
    고계는 명나라의 시인으로, 다양한 주제를 평이하고 담백하게 표현한 약 2000수의 시를 남겼으며, 그의 작품은 일본에서도 널리 애창되며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.
  • 쩐 왕조의 황제 - 쩐 예종 (9대)
    쩐 예종은 쩐 왕조의 제9대 황제로, 양일례를 폐위시키고 즉위하여 쩐 왕조 질서 회복을 시도했으나, 잦은 외침과 신하들의 배반, 호꾸이리의 득세로 쇠퇴를 가속화시키고 태상황으로 실권을 장악하며 쩐 왕조 멸망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는다.
  • 쩐 왕조의 황제 - 쩐 순종
    쩐 순종은 쩐 왕조의 제10대 황제로 호뀌리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실권은 그에게 있었고, 재위 기간 동안 그의 영향력 아래에서 왕족 숙청, 수도 이전 등의 강요를 받다가 퇴위당하고 살해당했다.
쩐 유종 - [인물]에 관한 문서
기본 정보
Trần Dụ Tông 황제의 동상
Trần Dụ Tông 황제의 동상
칭호대월 황제
이름Trần Hạo (쩐 하오/陳暭)
재위 기간1341년 – 1369년
출생일1336년 11월 22일
출생 장소탕롱, 대월
사망일1369년 5월 25일
사망 장소대월
매장지Phụ Tomb (부 릉)
묘호Dụ Tông (유종/裕宗)
시호통천체도인명광효황제(Thống-thiên Thể-đạo Nhơn-minh Quang-hiếu Hoàng đế/統天體道仁明光孝皇帝)
연호Thiệu Phong ( thiệu phong/紹豐, 1341–1357)
Đại Trị (대치/大治, 1358–1369)
왕조쩐 왕조
종교불교
가족 관계
아버지쩐 명종
어머니Queen Hiến Từ (헌자 왕후)
배우자Queen Nghi Thánh (의성 왕후)
자녀상속자 없음
왕위 계승
계승 순서쩐 왕조 황제
선임자쩐 헌종
후임자혼덕공

2. 생애

쩐 유종은 쩐 왕조 제5대 황제 명종의 열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. 1341년 둘째 형인 헌종이 요절하자, 맏형 진욱(陳昱)은 엉성하고 미친 사람이라는 이유로 명종에게 미움을 받아 황제 계승에서 멀어졌다. 이로 인해 불과 6세였던 진호(유종)가 황제로 옹립되었다.[2] 초기에는 아버지 명종이 실권을 쥐고 있었다.

1357년 아버지 명종이 사망한 후 유종은 실권을 행사하게 되었으나, 주색과 사치를 일삼는 등 국정을 돌보지 않아 아버지처럼 암군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.

1369년 유종은 34세(만 32세)의 나이로 사망하였다. 유종은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조카 진일례가 후계자로 지명되어 즉위하였다.[17]

2. 1. 즉위 전

유종은 1336년에 태어났다. 쩐 왕조 제5대 황제 명종과 헌자선성황후(Hiến Từ Tuyên Thánh Hoàng Hậu) 사이에서 태어난 열 번째 아들이었다.[1] 1341년, 둘째 형인 헌종이 후사 없이 23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. 맏형인 진욱(陳昱)은 엉성하고 미친 사람이라는 이유로 태상황 명종에게 미움을 받았고, 6살에 불과한 진호(유종)가 황제로 옹립되었다.[2] 즉위 초기의 실권은 아버지 명종이 쥐고 있었다.

2. 2. 티에우퐁(Thiệu Phong) 시대 (1341년 ~ 1357년)

1341년 아버지 명종이 사망할 때까지 명목상으로만 통치했다.[3](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)]』에 따르면, 어린 황제 유종은 총명하여

2. 3. 다이찌(Đại Trị) 시대 (1358년 ~ 1369년)

1357년 명종이 사망한 후, 유종이 즉위하여 연호를 티에우퐁(Thiệu Phong)에서 다이찌(Đại Trị, 1358년~1369년)로 변경하였다.[9] 명종과 같은 유능한 통치자의 죽음으로 인해 유종이 이끄는 조정은 혼란에 빠지기 시작했다. 특히 Nguyễn Trung Ngạn과 쯔엉 한 시에우(Trương Hán Siêu)와 같은 능력 있는 관리들이 사망하고, Chu Văn An과 같은 다른 관리들은 불만을 품게 되었기 때문이다. 황제가 그의 유명한 『실참서』(7명의 부패한 관리 처형 청원서)[10]를 거부한 후,[11] 주 반 안(Chu Văn An)은 부패한 관리들과 악한 무리들로 가득 찬 조정을 떠나기로 결정했다.[11]

당시 중국은 주원장과 진우량 사이의 투쟁으로 매우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었고, 두 사람 모두 대월(Đại Việt)의 지원을 얻으려고 했다. 그러나 유종은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남쪽 국경을 따라 참파(Champa)에 대비하여 군대를 집결시켰다.[12]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, 참파의 군대는 여전히 대월의 국경에 대한 우려를 야기했고 여러 차례의 소규모 충돌을 일으켰으며,[13] 대월에서는 많은 반란이 일어나 혼란을 가중시켰다.[11]

명종의 섭정 시절에는 겸손하고 부지런했던 유종은 독자적인 통치 기간 동안 여러 개의 호화로운 궁궐 건설과 사치스러운 향락에 막대한 비용을 지출했다.[11][14] 유종은 당시 수치스러운 쾌락으로 여겨졌던 연극을 조정에 도입했다.[10] 황제는 계급과 질서를 완전히 무시했고, 왕족인 왕자와 공주들에게 시장에서 부채 접는 것과 같은 사소한 일을 시켰다. 공식적인 접견에서 유종이 기분이 좋으면 왕좌에서 내려와 신하들과 함께 춤을 추곤 했다.[10] 한번은 황제가 너무 취해서 연못에 빠져 병에 걸렸고, 오랜 치료 끝에야 회복되었다.[13][15] 황제는 1369년 음력 5월 25일 33세의 나이로 28년의 통치를 마치고 사망했다. 그는 시호가 없었고, 부묘(Phụ Tomb)에 묻혔다.[15]

2. 4. 사망 이후

유종은 자식이 없어, 조카 진일례를 후계자로 지명하여 즉위시켰다.[17] 유종은 열 명의 부인이 있었으나 불임이었기 때문에, 죽기 전에 양일례(Dương Nhật Lễ)에게 왕위를 계승하라는 칙령을 내렸다.[16] 당시 왕실에는 왕위 계승에 적합한 여러 왕자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,[10] 쩐씨 가문이 아닌 사람에게 왕위를 넘긴 것이다.[17] 이러한 유종의 결정은 왕조의 정상적인 계승 절차를 위반하고 쩐 왕조의 혼란스러운 시대를 예고했다는 이유로 역사가들로부터 심하게 비판받았다.[15]

3. 가족 관계


  • 부친: 명종황제 쩐마인
  • 모친: 헌자선성황후 진씨
  • 휘자좌성황후 진씨

쩐 유종은 열 명의 부인이 있었고, 그중 응이탄(Nghi Thánh) 왕후는 쩐다이니엔 왕자의 딸이었다.[16] 쩐 유종은 불임으로 자식이 없었다.[17]

4. 연호

유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
서력1341년1342년1343년1344년1345년1346년1347년1348년1349년1350년
간지신사임오계미갑신을유병술정해무자기축경인
연호소풍(紹豊) 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
유종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
서력1351년1352년1353년1354년1355년1356년1357년] || 1358년 || 1359년 || 1360년
간지신묘임진계사갑오을미병신정유무술기해경자
연호소풍 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대치(大治) 원년2년3년
유종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
서력1361년1362년1363년1364년1365년1366년1367년1368년1369년
간지신축임인계묘갑진을사병오정미무신기유
연호대치 4년5년6년7년8년9년10년11년12년


5. 존호, 시호, 묘호, 능호

존호는 通天體道仁明光孝皇帝|통천체도인명광효황제중국어이다. 묘호는 裕宗|유종중국어이며, 능호는 阜陵|부릉중국어이다.

참조

[1] 논문
[2] 논문
[3] 논문
[4] 논문
[5] 논문
[6] 논문
[7] 논문
[8]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., Ltd.
[9] 논문
[10] 논문
[11] 논문
[12] 논문
[13] 논문
[14] 논문
[15] 논문
[16] 논문
[17] 논문


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